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과 사용방법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사용 가능한 신용 및 체크 카드 종류와 발급 받거나 카드사 혜택확인 가능한 링크, 어플 다운로드 링크, 그리고 마지막 사용 방법까지 싹 다 정리 해 드립니다.
알뜰 교통카드란?
알뜰 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서 지급하고, 각 카드사의 혜택까지 포함하면 대중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새로운 교통카드를 이야기 합니다. 최대 30%까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알뜰 교통카드 종류
알뜰 교통카드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현재 별도 카드사 어플에서 찾아볼 필요 없이 그냥 네이버에서 "알뜰교통카드"로 검색만 해도 바로 카드 종류와 함께 카드 신청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으니 참고 하시면 좋습니다. 알뜰 교통카드는 일반 체크카드부터 신용카드까지 종류가 굉장히 많습니다. 현재는 체크카드 종류가 더 많으니 참고 하시면 좋고 일상 생활 혜택까지 보실려면 신용카드를 추천드립니다. 현재는 kb국민, 우리bc, 신한, 현대, 삼성, 하나, bc, 캐시비, 티머니, DGB, K뱅크, 광주 등 거의 대부분의 카드사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기준
먼저 알뜰 교통카드의 마일리지 시스템부터 보겠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시스템은 교통비를 절감하고, 보행 /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동시에 활성화 시키기 위환 적책입니다. 당연히 이런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다 보니 마일리지 적립 방법도 이런 이동거리로 계산해서 적립하게 됩니다.
- 출발지에서 (출발) 버스 승강장까지 걷거나 자전거등으로 이동한 거리 측정, 이후 도착 승강장에서 목적지(회사)까지 거리를 측정해서 마일리지를 적립합니다. 이 때 정확한 측정을 위해 휴대폰으로 걸음수 측정과 승강장과 도착지의 거리등을 측정해서 마일리지를 적립해주게 됩니다.
- 적립 기준은 대중교통 1회 이용 시 이동거리를 최대 800m까지 인정이 됩니다. (환승과정은 제외)
- 월 15회 미만 이용하게 되면 적립액은 소멸됩니다. (첫 달은 횟수와 상관없이 지급합니다.)
-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이용분을 마일리지로 지급하게 됩니다.
- 지급은 익월에서 늦으면 익익월까지 지급이 됩니다.
- 환경의날,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에는 마일리지 적립이 2배가 됩니다.
마일리지 적립 금액
마일리지 적립 금액은 대중교통 이용금액으로 지급액이 결정되고, 적립액은 이동 거리에 비례해서 적립이 됩니다. 마일리지 적립액은 기본적으로 최대 90%라고 설정되어 있지만, 일반인의 경우에는 불가능하고 적립액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대중교통 요금 | 2000원 미만 | 2000원 ~ 2999원 | 3000원 이상 |
기본 마일리지 | 최대 250월 | 최대 350원 | 최대 450원 |
만 19세 ~ 34세 | 최대 350원 | 최대 500원 | 최대 650원 |
저소득층 | 최대 700원 | 최대 900원 | 최대 1,100원 |
대중교통요금 | 800m 미만 (환승거리 미포함) | 800m 이상 (환승거리 미포함) |
기본 마일리지 | 이동거리에 비례 | 최대 금액 지급 |
마일리지 적립은 기본적으로 800m 이상만 걸으면 최대 금액이 지급 됩니다. 간단하계 보면 기본 마일리지로 2000원 미만의 교통비가 들 때, 하루 2번 이용(출/퇴근)하고,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거리가 800m이상이면 매일 500원씩 적립이 됩니다. 4.5주로 계산했을 때 매월 11,250원씩 적립이 되게 됩니다. 아래 표 매월 (4.5주 계산) 적립 마일리지 표입니다.
대중교통요금 | 2000원 미만 | 2000원 ~ 2999원 | 3000원이상 |
기본 적립금 | 11,250원 | 15,750원 | 20,250원 |
19세 ~ 34세 적립금 | 15,750원 | 22,500원 | 29,250원 |
저소득층 적립금 | 31,500원 | 40,500원 | 49,500원 |
대중교통 카드사 추가혜택
이런 혜택에 추가로 챙겨야 할게 바로 카드사 혜택입니다. 기본적으로 알뜰 교통카드들에는 교통비 할인 제도가 대부분 들어가 있습니다. 교통할인 카드를 보면 버스, 지하철 10% 청구할인 서비스가 있습니다. 이 혜택까지 추가로 받게 되면 저소득층이 3000원의 교통비를 쓰고 있다면 매월 135,000원의 교통비 중에 매월 적립금으로 49,500원 + 10% 청구 할인으로 10,000원의 카드사 할인 혜택까지 총 59,50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매월 교통비가 거의 절반 가까이 줄어들게 되는겁니다. 꼭 이용해야 하는 서비스 입니다. 아래표는 기본 할인 한도 입니다. 이 외에도 추가 실적(우리카드 월 70만원 사용시 2만원까지 청구할인)이 있지만 사용 실적 대비 가성비가 좋지 않아 기본 할인 혜택만 적어 봅니다.
카드사 혜택과 비교해서 카드 선택 시 개인적으로 연회비나 할인률 보다는 월 청구할인 한도와 실적으로 비교해서 발급 받는게 제일 유리 하다고 생각됩니다. 연회비 정도는 두 달만 청구 할인 받아도 되지만 실적이 안되서 청구 할인을 못받을 일이 생길 수 있으니 신중히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카드사 | 연회비 | 할인율 | 월 최대 한도 및 실적 |
우리 | 13,000원 | 10% | 10,000원 (30만원) |
국민 | 8,000원 | 10% | 5,000원 (30만원) |
현대 | 10,000원 | 10% | 5,000원 (40만원) |
신한 | 12,000원 | 10% | 10,000원 (30만원) |
삼성 | 8,000원 | 10% | 7,000원 (30만원) |
BC | 6,000원 | 15% | 7,000원 (30만원) |
농협 | 6,000원 | 10% | 10,000원 (40만원) |
하나 | 17,000원 | 20% | 15,000원 (50만원) |
알뜰 교통카드 사용하는 방법
알뜰 교통카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알뜰 교통카드 (신용,체크) 발급이 먼저 입니다. 카드 발급 후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서 진행을 할 수가 있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발급신청
- 알뜰교통카드 어플 설치 (IOS, 안드로이드 모두 가능)
- 발급된 교통카드 번호로 회원가입
- 출근 및 퇴근 시 출발 전 어플에서 출발 버튼 클릭
- 알뜰교통카드나 모바일 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 결제
- 도착 시 어플에서 도착 버튼 클릭
- 출발이나 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최소 마일리지 50원만 적립
더 궁금하신 사항은 홈페이지를 둘러 보시기 바랍니다.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나도 받을 수 있나요? 지급 기준, 금액 계산, 수령 방법 (0) | 2023.07.17 |
---|---|
실업 급여 조건과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3.07.12 |
청년 내일채움공제 정부지원금 자격요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7.07 |
카카오톡 이모티콘 플러스 정기결제 해지하기 (0) | 2023.07.07 |
신용점수별 등급과 관리 방법 (0) | 2023.07.07 |